인프라 관리자의 공부하기 프로젝트
최근 IT 업계에서 보안 기술 및 인프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러한 흐름에 맞춰 꾸준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개인적인 학습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제가 걸어온 경력과 앞으로의 학습 방향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1. 경력 소개
재직기간: 2021.08 ~ 2022.04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
업종: 정보통신업
업무: 국내 A사 네트워크 보안 제품 기술영업 및 컨설팅 (군/공공기관 담당)
주요 업무 성과
- 육군본부 통합데이터센터 수주 성공
재직기간: 2022.04 ~ 2022.07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업종: 가상화폐거래소, 가상자산업
업무: 사내 정보보안담당자 및 거래소 개인정보보호담당자
주요 업무 성과
- ISMS 인증심사 통과 및 취약점 조치 수행
- 사내 네트워크 관리
재직기간: 2022.08 ~ 2023.06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업종: 의료기기 제조업(필러, 보톡스)
업무: 본사 및 지사 인프라 관리자
주요 업무 성과
- 사내 인터넷망 구축
- 전산 시스템 구축 (FW, Server, Switch)
- 파일 서버 구축 (Dell - Samba, NextCloud)
- 본사 및 공장간 네트워크 단일화 (IPSec VPN) 및 재택근무 SSL VPN 환경
- 중앙관리형 백신 도입 (ESET)
- 사내 업무 규정(IT부분) 제작
- 전사 그룹웨어 관리(더존)
- 사내 전산시스템 관리
재직기간: 2023.06 ~ 2024.12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업종: 육류 유통/무역 및 가공업
업무: 본사 및 계열사 인프라 관리자
주요 업무 성과
- Zabbix 구축 및 모니터링 환경 제작
- ClouDoc 계약 종료로 인한 사내 파일 서버 구축 (Samba)
- 계열사 L2 Cisco Switch 4EA 추가
- 방화벽 정책 재구성 (Secui)
- EOS FW 교체 (Secui)
- DLP 도입 및 정책 구성 (오피스키퍼)
- 전사 그룹웨어 관리(하이웍스)
- 사내 사무실 용도 변경 관련 네트워크 가설
- 신사옥 건축 전산(네트워크) 도면 참여
- 사내 Web ERP 유지보수 (Java)
- Zebra Label Print System 신규 개발 및 유지보수 (Java)
- PDA System 유지보수 (Java)
- 사내 전산시스템 관리
재직기간: 2024.12 ~ 재직중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및 강남구
업종: 금융업 및 연구원
업무: 국내 1금융권 연구소 SM (인프라 관리) 외주근무
주요 업무 성과
- 2024 취약점 점검 진행 및 조치 완료
- Zabbix 구축 및 모니터링 환경 제작
- Switch Policy 재구성
- L2 Extreme Switch 6EA 추가
- 신규 네트워크 구성도 제작
- 네트워크 회선 증속
- AP 및 Switch QoS 적용 및 회선 균등 배분
- 연구원 VDI 및 GPU 클라우드 자산 관리
- ClouDoc, Confluence 관리 및 유지보수 (RedHat Linux)
- 사내 전산시스템 관리
2. 현재 관심사 및 학습 분야
최근 트렌드에 맞춰 보안 기술 및 인프라 관리 기술을 심도 있게 학습하고자 합니다. 특히 아래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 Docker / K8s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
- Switch (Cisco, Extreme) / Network 구조 설계
- Linux (RedHat 계열 위주) / Server 관리
- Security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보안)
- Infra 모니터링 (Zabbix, Grafana 등)
새로운 기술을 한꺼번에 깊이 파고들기보다는, 큰 틀 안에서 필요한 부분을 순차적으로 학습하며 다양한 관점을 갖고자 합니다.
3. 앞으로의 학습 방향
- 기초 다지기: 이미 경험이 있는 네트워크/리눅스/보안 과목을 다시 한 번 탄탄히 정리하고, 신규 기술 학습 시 기반을 단단히 잡을 예정입니다.
- 프로젝트형 학습: Docker 컨테이너 환경 구성, 간단한 웹 서비스 클러스터(Kubernetes 활용) 등을 직접 구축해보면서 실무 감각을 익힐 계획입니다.
- Infra 모니터링 툴 활용: Zabbix, Grafana 등을 도입해 서버/네트워크 상태를 시각화하고 자동화된 알림 시스템을 구성해볼 생각입니다.
- 공유 및 기록: 학습 내용을 블로그 형태로 정리해두고, 필요 시 기술 커뮤니티나 동료들과 정보를 적극 공유할 예정입니다.
4. 맺음말
현업에서 인프라 관리자로 일하면서 매일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 포인트를 찾아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개인적으로 흥미가 있는 Docker/K8s, 보안, 모니터링 등의 기술 분야를 꾸준히 학습하여 장기적으로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이 블로그에는 앞으로 학습 과정에서 얻은 내용과 실무에 적용해본 결과 등을 간단히 포스팅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