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Network

[Network] 네트워크 스위치 L2~L7 역할과 차이점 설명

by IT 멩기 2025. 2. 18.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스위치 L1~L7 계층별 특징과 주요 기능 정리

네트워크 스위치 L1~L7 계층별 역할과 기능 총정리

안녕하세요, 멩기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스위치OSI 7계층에 따라 나누었을 때 각각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L1부터 L7까지 어떤 기능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네트워크 공부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도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와 함께 꼼꼼히 다뤄보겠습니다.


1. 물리 계층 (Layer 1)

역할: 비트(Bit) 단위의 전기적/광학적 신호를 전송하는 계층
주요 기능:

  • 전기적/광학적 신호 변환 및 전달
  • 리피터(Repeater), 허브(Hub)와 같은 단순 중계 장치 운영
  • 물리 매체(UTP, 광케이블 등)에 대한 물리적 연결 관리

예시 장비: 허브(Hub)는 들어온 신호를 모든 포트로 재전송해 충돌 도메인이 커지지만, L1 수준에서 단순 중계만 담당합니다.

2. 데이터 링크 계층 (Layer 2)

역할: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Frames)을 전송하고, 물리 계층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계층
주요 기능:

  • MAC 주소 테이블 관리 및 프레임 포워딩
  • 에러 검출(CRC), 흐름 제어
  • 브리지(Bridge), 스위치(Switch) 등을 통해 충돌 도메인 분할

예시 장비: L2 스위치는 허브와 달리 MAC 주소를 기준으로 트래픽을 목적지 포트로만 보냄으로써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고, VLAN 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3. 네트워크 계층 (Layer 3)

역할: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라우팅(Routing)하고, 논리적 망 주소 체계를 관리하는 계층
주요 기능:

  • IP 패킷을 목적지 IP에 따라 최적 경로로 전달
  • 서브넷 간 라우팅, 게이트웨이 역할 수행
  • ICMP(핑), ARP 등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처리

예시 장비: 라우터(Router)는 IP 기반으로 네트워크 경로를 선택하고, L3 스위치는 VLAN 간 트래픽 라우팅을 고속으로 처리하여 사내망/데이터센터 내부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4. 전송 계층 (Layer 4)

역할: TCP/UDP 포트 번호를 사용해 세그먼트(Transport 단위)를 전송하고, 신뢰성(또는 비신뢰성) 전송을 관리하는 계층
주요 기능:

  • TCP/UDP 세그먼트 포트 정보를 기반으로 트래픽 분류
  • 흐름 제어(윈도우 사이즈), 오류 복구(재전송), 혼잡 제어
  • 세션 연결 관리(TCP 핸드셰이크 등)

예시 장비: L4 스위치 혹은 L4 로드밸런서는 특정 포트(예: 80, 443) 기반으로 트래픽을 여러 서버에 분산시켜 서버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5. 세션 계층 (Layer 5)

역할: 통신 세션(Session)의 생성, 유지, 종료를 담당하며 데이터 교환 중 동기화 포인트를 제공하는 계층
주요 기능:

  • 세션(로그인/로그아웃, 인증) 관리
  • 체크포인트 설정 및 연결 복구
  • 다중 세션에 대한 동기화 처리

실무에서는 세션 계층을 독립적으로 구현하기보다는 전송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이에서 프로토콜에 따라 기능이 구분되곤 합니다. 일부 고급 로드밸런서나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는 L5~L7 단계를 묶어 세션 및 콘텐츠 기반 처리를 수행합니다.

6. 프레젠테이션 계층 (Layer 6)

역할: 데이터의 표현, 암호화/복호화, 압축/해제 등으로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하는 계층
주요 기능:

  • 데이터 인코딩/디코딩 (예: JPEG, MPEG, ASCII 변환 등)
  • 암호화/복호화, 압축/해제

실제 네트워크 장비에서는 SSL 오프로딩이나 WAF와 같이 트래픽을 해석하고 암호화/복호화를 담당하는 기능이 L6 범주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7. 애플리케이션 계층 (Layer 7)

역할: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HTTP, FTP, SMTP 등)과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계층
주요 기능:

  • HTTP, FTP, SMTP 등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해석
  • 사용자 인증, 접근 제어, 쿠키 기반 세션 관리
  • 콘텐츠(URI, 헤더, 쿠키) 확인 후 트래픽 분산 및 보안

예시 장비: L7 스위치(애플리케이션 스위치)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은 HTTP 헤더나 쿠키 정보 등을 분석해 URL 기반 라우팅, 세션 고정, 보안 검사 등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example.com/images/...” 요청은 이미지 서버로, “example.com/api/...” 요청은 API 서버로 넘길 수 있습니다.


계층별 특징 요약 표

레이어 주요 식별 정보 대표 장비/기능 예시
L1 물리 신호(비트) 허브, 리피터 단순 신호 증폭, 재전송
L2 MAC 주소(프레임) 브리지, L2 스위치 VLAN, MAC 기반 스위칭
L3 IP 주소(패킷) 라우터, L3 스위치 서브넷 간 라우팅, ACL 적용
L4 포트 번호(TCP/UDP) L4 스위치, 로드밸런서 포트 기반 트래픽 분산
L5 세션 (로그인/동기화) 세션 관리(프로토콜별) 체크포인트, 연결 복구
L6 데이터 표현 (암호화 등) SSL 오프로딩, WAF 일부 기능 암호화/복호화, 압축/해제
L7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L7 스위치, WAF HTTP 헤더 기반 라우팅, 컨텐츠 스위칭

마치며

오늘은 네트워크 스위치가 지원하는 계층별 특성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L2 스위치는 LAN 내부에서 기본적인 통신을 담당하고, L3 스위치는 VLAN 간 라우팅과 네트워크 구성을 간소화해주며, L4~L7 스위치로드밸런싱애플리케이션 레벨 트래픽 제어를 통해 보다 고급 기능을 제공합니다.

각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핵심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면 네트워크 인프라 설계나 운영 시 한층 더 전문적인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구독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멩기의 IT 블로그에서는 네트워크, 서버, 보안 등 다양한 IT 지식을 공유할 예정이니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작성자: 멩기 | 블로그: it-mengi.tistory.com

반응형